자기 자신을 아는 것을 知라 하지 않고 明이라 한다.
collecting fragments
결국 이거 같다. 가장 외로운 사람이 가장 친절하고 악랄하게 굴 줄 알고, 가장 많이 운 사람이 가장 밝게 웃는 얼굴로 자비가 없을 수 있으며, 가장 많이 상처받은 사람이 가장 현명하게 잔인할 줄 안다.
살다 보면 꼭 한번은 재수가 좋든지 나쁘든지 천재를 만나게 된다. 대다수 우리들은 이 천재와 경쟁하다가 상처투성이가 되든지, 아니면 자신의 길을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평생 주눅 들어 살든지, 아니면 자신의 취미나 재능과는 상관없는 직업을 가지고 평생 못 가본 길에 대해서 동경하며 산다.
이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추월할 수 없는 천재를 만난다는 것은 끔찍하고 잔인한 일이다. 어릴 때 동네에서 그림에 대한 신동이 되고, 학교에서 만화에 대한 재능을 인정받아 만화계에 입문해서 동료들을 만났을 때, 내 재능은 도토리 키 재기라는 것을 알았다. 그 중에 한두 명의 천재를 만났다. 나는 불면증에 시달릴 정도로 매일매일 날밤을 새우다시피 그림을 그리며 살았다. 내 작업실은 이층 다락방이었고 매일 두부장수 아저씨의 종소리가 들리면 남들이 잠자는 시간만큼 나는 더 살았다는 만족감으로 그제서야 쌓인 원고지를 안고 잠들곤 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한달 내내 술만 마시고 있다가도 며칠 휘갈겨서 가져오는 원고로 내 원고를 휴지로 만들어 버렸다. 나는 타고난 재능에 대해 원망도 해보고 이를 악물고 그 친구와 경쟁도 해 봤지만 시간이 갈수록 내 상처만 커져갔다. 만화에 대한 흥미가 없어지고 작가가 된다는 생각은 점점 멀어졌다. 내게도 주눅이 들고 상처 입은 마음으로 현실과 타협해서 사회로 나가야 될 시간이 왔다. 그러나 나는 만화에 미쳐 있었다.
새 학기가 열리면 이 천재들과 싸워서 이기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꼭 강의한다. 그것은 천재들과 절대로 정면승부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천재를 만나면 먼저 보내주는 것이 상책이다. 그러면 상처 입을 필요가 없다. 작가의 길은 장거리 마라톤이지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천재들은 항상 먼저 가기 마련이고, 먼저 가서 뒤돌아보면 세상살이가 시시한 법이고, 그리고 어느 날 신의 벽을 만나 버린다. 인간이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신의 벽을 만나면 천재는 좌절하고 방황하고 스스로를 파괴한다. 그리고 종내는 할 일을 잃고 멈춰서 버린다. 이처럼 천재를 먼저 보내놓고 10년이든 20년이든 자신이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꾸준히 걷다 보면 어느 날 멈춰버린 그 천재를 추월해서 지나가는 자신을 보게 된다.
산다는 것은 긴긴 세월에 걸쳐 하는 장거리 승부이지 절대로 단거리 승부가 아니다. 만화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그림을 잘 그리고 싶어한다. 그렇다면 매일매일 스케치북을 들고 10장의 크로키를 하면 된다. 1년이면 3500장을 그리게 되고 10년이면 3만 5000장의 포즈를 잡게 된다. 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자세와 패션과 풍경이 있다. 한마디로 이 세상에서 그려보지 않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이다. 거기에다 좋은 글도 쓰고 싶다면, 매일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를 하면 된다. 가장 정직하게 내면 세계를 파고 들어가는 설득력과 온갖 상상의 아이디어와 줄거리를 갖게 된다. 자신만이 경험한 가장 진솔한 이야기는 모두에게 감동을 준다. 만화가 이두호 선생은 항상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라고 후배들에게 조언한다. 이 말은 언제나 내게 감동을 준다. 평생을 작가로서 생활하려면 지치지 않는 집중력과 지구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가끔 지구력 있는 천재도 있다. 그런 천재는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축복이고 보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그런 천재들은 너무나 많은 즐거움과 혜택을 우리에게 주고 우리들의 갈 길을 제시해 준다. 나는 그런 천재들과 동시대를 산다는 것만 해도 가슴 벅차게 행복하다. 나 같은 사람은 그저 잠들기 전에 한 장의 그림만 더 그리면 된다. 해 지기 전에 딱 한 걸음만 더 걷다 보면 어느 날 내 자신이 바라던 모습과 만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정상이든, 산중턱이든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바라던 만큼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만화가 이현세
‘난 왜 뽑힌 거야?’
바보처럼 멍하니 합격통지서를 확인한 순간부터 그 고민은 시작됐다. 나보다 학교 성적도 좋고 착하고 재능 있는 친구들도 많은데 이렇게 좋은 학교에 내가 뽑혔다고?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이라 입학사정관 선생님, 교수님 가리지 않고 여쭈어 보며 돌아다녔지만, 그 누구도 속 시원한 답변을 내주시진 않으셨다. 결국 지쳐서 내가 그렇게 인상 깊었던 학생은 아니었겠거니 생각하면서 풀리지 않는 고리타분한 고민을 밀어두고 꿈같이 행복했던 학교생활을 잠시 동안 만끽했었다.
그런데 힘든 순간들마다 그 고민이 떠올라 나를 괴롭혔다. 과제와 퀴즈점수가 형편없이 바닥을 치던 날, 첫 중간고사를 앞둔 날, 진로 때문에 고민하던 날, 심지어 농구를 하다 사정없이 블로킹을 당했던 날에도 무의식적으로 스스로에게 묻고 있었다. 넌 도대체 왜 뽑힌 거냐고. 뭐가 그렇게 잘나서 이렇게 좋은 학교에서 생활하고 있는 거냐고. 그럴 생각이 들 법도 한 것이 생활을 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날수록 다들 멋있고 매력 있는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항상 나보다 공부를 잘하는 친구가, 진로를 확실하게 정한 친구가, 키가 커서 농구를 편하게 잘하는 친구가 있기 마련이었다.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버릇도 있었지만 내가 그다지 뛰어나거나 매력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건 객관적으로도 맞는 것 같았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 열등감 때문에 우리학교가 점점 더 좋아졌다. 나이와 학번을 불문하고 내가 동경하는 멋있는 사람들과 함께 공부하고, 노래하고, 운동하고, 술을 마시고, 얘기를 나누면서 어설프게나마 그들을 따라가기 위해 노력했다. 역시나 그들을 따라잡는 것은 무리였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나는 조금씩 성장했고, 짧다면 짧은 내 인생에서 처음으로 내가 살아 숨쉬는 것을 느낄 만큼 행복했다. 이렇게 뛰어난 사람들 속에서 이를 악물고 발버둥칠수록 점점 더 괴로워짐과 동시에 행복해지는 이상한 순환이 반복되었다.
아직도 난 내가 포스텍에 뽑힌 이유를 모른다. 그리고 학교 안에서 제각기 여러 방면에 뛰어난 사람들을 볼 때마다 동경심에 휩쓸려 확고한 중심을 못 잡고 이리저리 흔들릴 때가 많다. 그렇지만 이제는 그 사실이 싫지 않다. 아니, 오히려 즐겁다. 열등감 때문에 내 자신이 흔들릴 때야 비로소 즐거운 나를 발견할 수 있었으니까. 때문에 나를 괴롭게 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기회를 빌어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내가 만나왔고 앞으로 만나게 될 이 학교 안에서의 모든 환상적인 인연들에게, 자신들의 치명적인 매력으로 나를 흔들리게 한 그들에게 기꺼이 감사드린다.
포항공대신문,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