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s "Enter" to skip to content

자존감

재수없는 이야기처럼 보이겠지만 그래도 그냥 요즘 하는 생각을 정리해보면, 나는 뭐랄까 어렸을 때부터 초등학교, 중학교까지 막내라거나 공부 잘하는 아이라거나 여튼 그런 이유로 뭔가 돋보이고 예쁨 받는 사람이라는 점이 자아 형성에 한 몫을 한 거 같다. 고등학교때는 그게 긍정적인 의미로 작용했고, 학부때는 학점은 그냥저냥했지만 프로젝트 같은 거 하면 비교적 두뇌회전이 빠른편이라고 자위하고 동아리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꾼 거 같고. 대학원 초기까지는 어째저째 넘어왔지만 이걸 토대로 만들어진 자아가 본격적으로 한계에 부딪힌게 대학원 중반부터인 거 같고. 내가 그런 포지션에 위치하지 못한다는게 어떤 욕구불만으로 작용했던 거 같기도 하다.

작년의 수영이나 올해의 배드민턴이 운동 자체에서 삶의 의욕을 찾은 것도 없진 않지만, 그거 말고도 새로운 걸 배우면서 내가 남들보다 빨리 배우고 빨리 적응하고 같은 시간에 더 앞서 나갈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자기만족을 준 거 같기도 하다. 예전부터 나는 승부욕, 그러니까 내가 누구를 꺾고 이긴다에 대한 욕심은 거의 없는 편이고, 누구와 대결해서 지는 것도 그리 예민하게 반응하지는 않는데, 미묘하게 다른 뉘앙스로 남들보다 뒤쳐지는 느낌? 그런 걸 정말 싫어러 한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이게 딱 그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거 같기도 하고.

여튼 내 자존감은 2014년을 전후로 바닥을 쳤고 2014년~2015년을 지나면서 그나마 반등을 하기 시작한 거 같은데, 그 밑에는 앞서 말한 새로 배웠던 운동에서 온 것들, 그리고 내가 하는 연구로 국제학회지만 논문 두 개를 냈다는 점에서 무너졌던 자존감을 스스로 좀 회복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Be First to Comment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